
실제원가 이외에 표준원가가 왜 필요한지 궁금하다면 표준원가가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주로 제조 기업은 회계연도 말에 제품의 실제원가를 계산하여 분석합니다. 만일 제품의 수익성을 분석한다면 실제원가만 있으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재무회계 관점으로만 생각하는 것입니다. 재무적 분석도 중요하지만 회사 내부 경영진들은 내부 관리회계(Controlling) 관점에서 원가를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표준원가의 비즈니스 관점의 이해와 표준원가 회계 시스템 그리고 표준원가의 활용과 한계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표준원가의 비즈니스적 관점의 이해 표준원가의 사전적 정의는 '정상적인 조업도 하에 마땅히 달성해야 할 원가'입니다. 이 말을 좀 더..

이 페이지에서는 보상과 희생의 원칙으로 선수금(Receive cash in advance from customers)과 선수수익(Unearned Revenue)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회계를 처음 공부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수금과 선수수익에 대한 차이점과 이 두 계정이 왜 부채인지 이해를 못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 설명을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해 보시길 바랍니다. ¶ 회계의 중요한 논리적 개념인 보상과 희생의 원칙 보상은 받을 권리이고, 희생은 주어야 할 의무이다. 회계에서 보상과 희생의 원칙은 거래에 보상이 있으면 희생도 있다는 것입니다. 판매자의 입장에서 볼 때, 상품을 판매하면 자신의 희생을 통해 공급 의무를 이행한 것이며 구매자로부터 금전으로 보상을 받게 됩니다. 반면, 구매자의 입장에서..

이 페이지에서는 회계를 이해하기 위한 치트키 수익 비용 대응의 원칙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익 비용 대응의 원칙은 회계를 이해하는 가장 효과적인 지식 중 하나입니다. 기본적인 지식임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에서 찾은 설명이나 회계 관련 책을 읽는다고 쉽게 이해되지 않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설명을 읽어 본다면 보다 더 쉽게 이해가 될 것입니다. ¶ 회계를 이해하기 위한 치트키 수익 비용 대응의 원칙 회계상 수익과 비용의 일치 원칙은 근본적이고 논리적인 개념입니다. 수익과 비용이 발생하는 회계 기간 내에 수익과 비용을 정확하게 대응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기업 성과의 합리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수익 창출과 관련된 모든 비용을 해당 수익에 정확하게 대응시켜야 합니다. 만일 기업이 공장 신축에 투자하..

이 페이지에서는 대표적인 회계의 재무제표인 대차대조표(Balance)와 손익계산서(Profit&Loss Statement)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차대조표는 일정 시점의 재무 상태'이고 '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의 재무성과'라는 인터넷이나 기본 교재에서 정의하는 것만으로는 두 재무 리포트에 대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그것보다는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각 리포트의 목적이 무엇이고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비즈니스적 이해가 더 중요합니다. 이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실체와 그림자에 비유를 통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의 목적 회계는 정의보다 목적을 아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그동안 회계가 어려웠던 이유는 사업주(경영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사업주가 기..